본문 바로가기
인간의 심리학

심리치료와 심리상담의 차이

by make-do 2024. 9. 12.

심리치료 vs 심리상담

심리치료와 심리상담의 차이


심리치료와 심리상담의 정의는 이전 블로그에 포스팅했습니다.

https://make-do.co.kr/4
참고 바랍니다.

이번 블로그 주제는 심리치료와 심리상담의 차이를 중점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심리 치료와 상담의 목적은 같은 방향인 내담자의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습니다.
다만, 이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 상담자의 자격요건, 해결 방법과 정신 건강 문제의 정도가 다릅니다. 그 차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해결 방법과 정도
 심리치료
  - 임상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 등 고도의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해 진행합니다.
여기서, 전문가는 심리학 또는 정신의학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전문가를 말합니다. 이들은 심리 분석을 통해 진단을 내리고 장기적인 치료 계획을 세웁니다. 치료 과정에서 정신과 의사인 경우 약물 치료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기간은 대부분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진행합니다. 지속적인 치료와 분석을 통해 변화를 감지하고 피드백을 줍니다. 정신 건강 문제의 정도는 예시를 통해 알려드리는 게 편할 거 같습니다. 예시) PTSD,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 등과 같은 정신적인 질환을 주로 치료합니다. 즉, 가벼운 문제가 아니라 조금 더 깊고 무거운 정신 건강 문제 또는 정신 질환을 다룹니다. 

심리상담
 - 상담사는 학위를 취득이 아닌, 심리학적 배경에 대한 훈련되는 별도의 국가자격증을 취득한 전문가를 뜻합니다. 상담 과정은 내담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생각, 감정, 행동, 결정 패턴을 분석하고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도와줍니다. 주로 경청과 본인 스스로 문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상담 기간은 중단기적으로 수주에서 수개월 정도 진행합니다. 심리 상담의 정신 건강 문제의 정도는 보통 일상에서 벌어지는 스트레스 또는 경미한 심리 문제를 다루고 상담을 통해 심각성을 보인다면 질병으로 취급합니다.

 

요약

구 분 심리치료 심리상담
자격요건 의사 상담사
기       간 장기간 중단기
정       도 심각, 정신 질환 경미, 일상



본인이 심리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면, 

우선 심리 상담을 통해 본인의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지 인지하고 심리 치료를 진행하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윗글을 통해서도 본인의 어떤 치료나 상담을 받아야 할지 모르겠다면 조금 더 깊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심리상담과 심리치료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결정하는 기준은 본인의 증상 심각성과 해결 목표를 생각해야 합니다.

아래에 각 상황에 맞는 선택 기준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심리치료를 선택해야 할 경우


심리치료는 내담자의 과거 경험, 심리적 패턴, 깊은 내면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어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합니다. 
정신적 질환: 공황 장애, 우울증, 불안장애, 강박장애 등 심각한 정신적 문제를 겪고 있는 경우.
외상에 의한 장애 : 대표적으로 PTSD를 겪는 경우.
감정적 갈등: 깊은 내면의 갈등이나 트라우마를 다루고 싶을 때.
만성적인 문제: 오랜 기간 동안 해결되지 않은 감정적 문제나 행동 패턴.
자기 탐구: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싶을 때.
중독 문제 : 알코올, 도박, 약물 등 중독과 관련된 경우.

심리상담을 선택해야 할 경우


심리상담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발생한 고민 또는 스트레스, 대인 관계 등으로 보다 경미한 심리적 문제를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일상적인 스트레스: 직장, 학교, 관계에서의 스트레스나 압박을 느낄 때.
구체적인 문제: 특정 문제(예: 대인관계, 직업적 갈등)에 대한 조언이나 지원이 필요할 때.
의사결정: 삶에 있어서 중대한 결정이 필요할 때 혼란스러운 경우.
자아 성장: 자존감이 낮거나 자기 인식이 부족할 때.

그렇다면, 심리 상담과 심리 치료는 신청 방법을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을 중점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장점
정부에서 지원하기에 비용 부담이 저렴하거나 무료입니다.
대부분의 지역마다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단점
대기시간, 단기 상담, 특정 상담 주제 국한되어 있는 게 많습니다.

오프라인

가족센터(구 건강가정지원센터)
 - 주로 가족 문제 또는 부부, 형제간의 갈등 등 가족 관계와 관련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 각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우울증 자가 진단, 스트레스 검사 등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담을 통해 필요시 전문 기관과 연계도 해줍니다.

온라인

최근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상담이 인기입니다. 비대면, 전화, 채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며,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없어 좋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점입니다.

○ 정신건강복지센터 – 온오프라인 둘 다 가능 / 온라인(웹사이트,앱)
○ 국립정신건강복지센터 - ‘마음터치’라는 온라인 프로그램 운영, 자가 관리 프로그램
○ e-마음건강(서울시 서비스) - e-마음건강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 마음건강 플랫폼 – 보건복지부에서 운영
○ 24시간 정신건강 상담 전화 – 1577-0199 / 24시간 운영

개인 의견
아무래도 정신적, 심리적인 부분에 대해 치료받고자 할 때 무서울 수 있습니다.
‘이게 맞나...’ 싶거나, ‘괜찮을 거야’, ‘다들 똑같이 겪고 있을 거야’, ‘나만 참으면 돼’ 등과 같이 혼자 삭히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마음의 병은 보이지 않기에 더 안일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은 조금이라도 인지 했을 때 짧게 남아 상담이라도 받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최근 들어 주변 지인 중에도 상담을 받거나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많아질 것으로 보고 있고요. 창피한 것도 무서울 것도 참을 일도 아닙니다. 이상 심리상담, 심리치료에 관한 포스팅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