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의 역사, 일대기, 역사 순서
심리학은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고대 시대에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학문적이고, 사상적인 바탕을 가지고 발전해 왔습니다. 심리학의 역사를 알고자 한다면 먼저 학문의 뿌리인 철학을 공부하고, 그다음 심리학의 방법론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마지막으로 심리학이 철학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었던 과정을 보면 됩니다.
고대부터~현재까지
1. 고대 철학
심리학의 뿌리는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됩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사람의 생각, 마음, 그리고 행동을 연구하며 심리학적 개념을 토론하고 논의했다. 대표적인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소크라테스는 주로 사람의 인지. 인식, 감정, 욕구와 같은 문제들을 연구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은 신체와 분리될 수 없는 존재'라고 주장하며 사람 행동의 근본적인 유발 행동을 연구했습니다. 플라톤은 사람의 영혼을 3가지로 나누었다. 그 3가지는 이성적이고, 감정적이고, 욕망적인 부분이다. 그 중 이성적인 부분이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철학적 연구는 심리학의 기초가 됐고, 그렇게 심리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 근대 시대(17~19세기)
17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러, 대표적으로 데카르트는 사람의 생각, 마음, 정신을 보다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려 했다. 그 연구 중 가장 유명한 명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가 탄생했다. 이 명제는 이원론으로, 육체와 정신을 각각 분리된 실체로 봤다. 두 개의 실체 중 정신이 사고의 주체임을 강조하고 또 강조했다.
그렇게 얼마 지나지 않아 데카르트의 이원론은 반박받게 됐다. 반박하자는 존 로크로 경험론자다. 존 로크는 태초에 “사람은 정신 상태가 '백지상태'로 태어나고, 모든 지식과 데이터는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라는 주장이다. 이러한 연구와 논리를 통해 경험론적 관점은 이후 심리학이 실험적이고 경험적인 과학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시발점이 됐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슬슬 심리학은 뿌리인 철학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의 주제가 되기 위해 시작했다. 19세기에 대표적인 인물로는 빌헬름 분트가 있다. 1879년, 빌헬름 분트는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최초의 심리학 연구실을 설립했다. 이때부터, 심리학은 철학의 한 부분이 아닌,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빌헬름 분트는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면서, 심리학을 점차 과학적 연구의 영역으로 끌어당겼다.
3. 근현대 시대(20세기)
심리학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여러 개의 접근방식과 다양한 학파로 발전했다. 대표적인 3가지로 행동주의,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심리학이 있다.
행동주의
20세기 초, B.F. 스키너와 존 왓슨은 사람의 행동을 탐구하기 위해 행동주의 방향으로 제안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주 실험의 주제는 사람의 행동이 배움을 통해 변화하는 과정이다. 이 주제를 택한 이유는 사람의 생각은 직접 관철이 안 되기에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행동에 집중했다. 특히 B.F. 스키너는 처벌과 강화라는 지식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설명했다. 그렇게 행동주의는 심리학을 더더욱 논리적이고 실험적인 학문으로 성장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정신분석학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주로 다뤘습니다. 사람의 무의식이 행동과 사고,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습니다.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무의식 속에 구속된 욕구와 감정이 정신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정신적인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꿈 분석과 자유 연상법입니다.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이론은 사람의 정신 구조를 배우는 데 이바지했다. 이후 꿈 분석과 자유연상법은 현재까지도 정신 심리 치료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습니다.
인본주의 심리학
위 두 주장에 반박이라도 하듯,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은 모두 부정적이다.”라며 인본주의 심리학을 주장했다. 두 주장의 반박은 이렇게 묘사했다. 사람의 결정과 행동을 너무 지나치게 기계나 로봇처럼 부정적으로 설명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지지자로 칼 로저스와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사람의 자기실현과 긍정적인 발전 가능성에 중점을 두었다. 다시 말해, 사람을 창조적이고 자발적인 존재로 봤습니다.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사람의 욕망과 욕구를 삼각형, 피라미드 형태로 설명했다. 그 피라미드의 꼭대기에는 자기실현이 가장 높은 단계 ‘욕구’라고 주장했습니다.
4. 현대 시대(21세기~)
현대에 이르러 20세기보다 더 많은 분야로 분리되고 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지 심리학, 진화 심리학, 신경과학 등이 있습니다. 인지 심리학은 사람의 정보 처리 과정을 연구하며, 기억, 학습, 문제 해결 등의 인지 과정을 습득하는 데 목표를 둡니다. 진화 심리학은 사람의 행동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합니다. 신경과학은 사람의 뇌와 신경계의 작용이 사람의 행동, 결정과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지금, 현재 심리학은 단순히 학문적 연구에서 끝나지 않고, 교육 심리학, 임상 심리학, 산업 및 조직 심리학 등 다양하게 우리 실생활에서 가깝게 볼 수 있는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요즘 인기 있는 AI (인공지능)과 같은 최신 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사람의 생각 과정과 행동을 실험하는 새로운 연구들도 적극적으로 생기고 있습니다.
5. 요약
심리학의 역사는 뿌리인 철학이라는 학문에서 시작하여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별개의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했다. 고대 철학자(아리스토텔레스, 등)들의 영혼과 생각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근대 시대(빌헬름 분트)의 실험 심리학, 그리고 현대의 심리학을 다양한 접근활용까지, 심리학은 사람의 행동과 생각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속해서 연구의 과정을 밟아왔습니다. 앞으로도 심리학은 배움의 단순 학문이 아닌, 치료와 산업화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사회의 정신 건강 문제와 심리의 중요성 (2) | 2024.09.15 |
---|---|
심리치료와 심리상담의 차이 (0) | 2024.09.12 |
심리 상담, 심리 치료 각각의 정의 (5) | 2024.09.11 |
심리학이란? (0) | 2024.09.09 |
철학과 심리학의 차이점은? (2) | 2024.09.08 |